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.
1) 공부시작
2) 강의 종료.
3) 강의장
4) 학습 인증샷.
봄맞이 특급 혜택 '하나 더 봄'🌸 1+1 이벤트 (3/4~3/9) | 패스트캠퍼스
당신의 성장도 피어날 거예요. 1+1 쿠폰으로 강의 보고 또 보고!
fastcampus.co.kr
학습후기.
1) 개요
최근 프로젝트에서 테스트 코드의 품질과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JUnit 5의 다양한 애노테이션에 대해 학습했습니다. 이 글에서는 이 강의 수강을 통해 주요 애노테이션의 기능과 실제 적용 사례를 통해 얻은 인사이트를 공유하고자 합니다.
2) 핵심 애노테이션 분석
@ParameterizedTest
다양한 입력 매개변수로 동일한 테스트 로직을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강력한 기능입니다. 특히 경계값 분석이나 다양한 시나리오 테스트에 유용합니다.
@ParameterizedTest
@CsvSource({
"1, true",
"2, true",
"3, false"
})
void isValidInput(int input, boolean expected) {
assertEquals(expected, validator.isValid(input));
}
이를 통해 테스트 코드의 중복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테스트 케이스 추가가 용이해집니다.
@RepeatedTest
특정 테스트를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 실행하여 안정성을 검증합니다. 특히 동시성 이슈나 리소스 누수 문제를 발견하는 데 효과적입니다.
@RepeatedTest(100)
void testConcurrentAccess() {
// 동시성 테스트 로직
}
@Disabled
이 애노테이션은 테스트를 삭제하지 않고 문서화된 방식으로 비활성화할 수 있어 추적성을 유지합니다.
@Disabled("TICKET-123: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변경 후 수정 예정")
@Test
void testDatabaseQuery() {
// 테스트 로직
}
@Tag
테스트를 카테고리화하여 선택적 실행을 가능하게 합니다. CI/CD 파이프라인에서 특히 유용하게 활용됩니다.
@Tag("integration")
@Test
void testExternalSystem() {
// 통합 테스트 로직
}
@Nested
관련 테스트를 계층적으로 구성하여 가독성과 구조를 개선합니다. 특히 복잡한 클래스나 다양한 상태를 테스트할 때 효과적입니다.
@Nested
class WhenEmpty {
// 빈 상태 테스트
}
@Nested
class WhenFull {
// 가득 찬 상태 테스트
}
@Timeout
테스트 실행 시간에 제한을 두어 성능 저하나 무한 루프를 방지합니다.
@Timeout(value = 500, unit = TimeUnit.MILLISECONDS)
@Test
void testPerformanceCriticalMethod() {
// 성능 테스트 로직
}
실무 적용 시 얻은 인사이트
1) 테스트 독립성 확보
@BeforeEach와 @AfterEach를 활용하여 각 테스트가 독립적인 환경에서 실행되도록 보장했습니다. 이를 통해 테스트 간 상호 영향을 제거하고 테스트 실패 원인 파악이 용이해졌습니다.
@BeforeEach
void setup() {
testRepository.clear();
// 테스트 환경 초기화
}
2) 코드 재사용성 향상
@ParameterizedTest를 도입함으로써 테스트 코드량을 획기적으로 감소시켰으며, 테스트 케이스 추가 시간도 크게 단축되었습니다. 특히 API 응답 검증이나 유효성 검사 로직 테스트에서 큰 효과를 보았습니다.
3) 테스트 구조화 및 관리 개선
@Nested와 @Tag를 조합하여 테스트 스위트를 논리적으로 구성했습니다. 이는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테스트 관리와 실행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.
도입 시 고려사항
JUnit 5 애노테이션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고려사항이 있습니다:
1)적절한 추상화 수준 유지: 너무 복잡한 매개변수화는 오히려 테스트 가독성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.
2)테스트 실행 환경 고려: @BeforeAll과 같은 애노테이션은 병렬 실행 환경에서 예상치 못한 동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.
3)성능 영향 분석: 과도한 @RepeatedTest 사용은 빌드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적절한 균형이 필요합니다.